전체 133

유형

  • 133
  • 0
  • 19
  • 31
  • 0
  • 14
  • 57
  • 0
  • 0
  • 12
  • 0
  • 0
종로서관의 대표 이미지
공간

종로서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철동 16-8(종로 66)에 위치하였던 종로서적의 전신이다. 종로서적은 1907년에 개업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역사가 긴 서점이었던 동시에 국내 대형서점의 효시이다. 예수교서회가 운영하였으며 도서정가제를 처음으로 도입하였다. 이 서점은 1948년부터 1963년까지 종로서관으로 불렸고, 1963년 이후에는 종로서적센터로 불렸다. 2002년 6월 폐업하였다가 2016년 종로타워 지하2층에 재개장하였다. 새로 연 종로서적은 과거의 종로서적과는 위치도 다르고 운영 주체도 다르지만 종로서적의 역사를 복원한다는 취지를 가지기에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서는 종로서적의 전신인 종로서관을 '나'의 친구 '김종숙'네가 운영하는 것으로 나오며, '나' 그 많은 책을 소유한 '김종숙'을 부러워한다. '나'는 친구에게서 그 무렵의 순수 문예지인 《문예》와 신간 서적 등을 빌려 본다. 소설에서 당시 종로서관이라고 하면 서울에서 제일 큰 책방이었으며 온 집안이 총동원이 되어 판매도 하고 경리도 보고 감시도 하는 가족 경영 체제였다고 서술된다.

학창시절, 장편소설

대학병원 뒤뜰의 대표 이미지
공간

대학병원 뒤뜰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병원의 뒤뜰을 가리킨다. 『목마른 계절』에서 이곳에 국군의 시체가 방치되어 있다.

장편소설

돈암시장의 대표 이미지
공간

돈암시장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동에 위치한 시장으로, 1939년 돈암 신도시 계획의 일환으로 삼선교와 돈암교 도로 사이에 한옥밀집지역이 생기면서 발달한 상권이다. 현재도 전통 재래시장으로 기능하고 있다. 『목마른 계절』에서는 전쟁중임에도 비정상적으로 생기가 넘치는 공간으로 묘사된다.

장편소설

안국동의 대표 이미지
공간

안국동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법정동으로, '안국(安國)'이라는 동명은 조선 초기 한성부 북부 10방 중의 하나인 안국방(安國坊)에서 유래하였다. 『목마른 계절』에서 최치열이 모금운동의 시범을 보여준다고 '하진', '김순덕', '유화진', '현민'을 모두 데리고 나선다. 서울 종로구 원남동을 지나 안국동으로 가는 길로 접어들었을 때, 창경원(현재 창경궁 위치에 있었던 동물원)을 보며 '김순덕'과 '하진'은 그 안에 있을 백조를 상상한다.

장편소설

삼청국민학교의 대표 이미지
공간

삼청국민학교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북악산 동쪽 기슭에 있는 삼청공원 초입에 위치했던 국민학교이다. 서울삼청국민학교는 1969년 11월 서울재동국민학교와 통폐합되었고, 서울재동국민학교는 1996년 서울재동초등학교로 교명을 바꾸었다. 『목마른 계절』에서 '하진'과 '혜순'은 '하열'을 포함한 삼청국민학교 교사들이 더 나은 교육을 받으러 평양으로 끌려갔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장편소설

종로 C국민학교의 대표 이미지
공간

종로 C국민학교

『목마른 계절』에 등장하는 종로 C국민학교의 실제 교명이 특정되지는 않는다. '진이네'와 같은 처지의 여인들이 도시락을 들고 모두 종로 C국민학교로 향하고 있어 '진이네'도 C국민학교로 간다. C국민학교에서는 의용군으로 데리고 갈 무리를 골라내는 작업이 한창이었으며 인민군은 여성들을 향하여 총을 쏘며 쫓아낸다.

장편소설

S대 동숭동 교수 관사의 대표 이미지
공간

S대 동숭동 교수 관사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교수 관사를 가리킨다. '하진'은 동숭동 관사촌의 빈 교수집으로 옮긴 민청위원회에 '김순덕'과 함께 출석한다. 최치열은 '하진'을 설득하여 그를 당원으로 올리고 싶어한다.

장편소설

돌산 오솔길의 대표 이미지
공간

돌산 오솔길

『목마른 계절』에 나오는 돌산은 한국전쟁이 일어났을 때 방공호 역할을 했던 낙산(駱山)으로 추정된다. 이 돌산의 오솔길에서 '하진'은 '민준식'과 헤어지기 전에 그를 오솔길로 이끌면서 '빨갱이짓'을 그만두자고 권하지만 거절당한다. 두 인물은 입맞춤을 나누고 헤어진다.

장편소설

검문소의 대표 이미지
공간

검문소

『목마른 계절』에서 '하진', '김순덕', '유화진', '현민'이 함께 걷던 중 검문소에 걸리는데 민청의 신임장으로 놓여난다. 이 검문소의 위치가 특정되지는 않으나 서울 종로구 혜화동 인근으로 추정된다.

장편소설

덕소리의 대표 이미지
공간

덕소리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에 있는 리이다. '덕소(德沼)'라는 지명은 구한말 때 한강에 큰 못에 있어 덕소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목마른 계절』에서 식량난이 더욱 심해지자 '하진'과 당숙모는 덕소로 가서 옷가지를 식량으로 바꿔올 작정을 한다. 두 인물은 이곳에서 은수저와 비단옷 몇 벌을 보리쌀로 바꾼다.

장편소설